티스토리 뷰

 

 

 

 

오늘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고 시행하는 국가기술자격증 중 하나인 공조냉동기계기사 자격증의 시험일정과 응시자격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려고 해요. 먼저 공조는 공기조화의 준말인데요, 온도나 습도를 유지하고 먼지 등을 제거하여 사람이나 물체에 대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는 을 의미합니다.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을 위한 공조냉동기술은 종류가 많고 그만큼 활용 범위가 굉장히 넓고 그만큼 취업에 있어서도 높은 활용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공조냉동 관련 기술에 대한 기술인력이 요구되어 이에 따라 공조냉동기계기사 자격제도가 제정되었습니다.

 

 

 

 

 

 

공조냉동기계기사 시험일정은 매 년 3회씩 실시되는데요 , 필기시험의 경우 3, 4, 8월에 실시되며 필기시험 응시일 전날까지는 자격요건을 갖춰야 합니다.

 

 

 

 

 

 

 

공조냉동기계기사 자격증 시험에 응시하려면 학력조건, 경력조건 혹은 학력+경력 조건을 만족해야 하며 이 세가지 조건 중 하나라도 만족하면 공조냉동기계기사 시험을 보실 수 있게 됩니다.

 

 

 

 

 

 

 

공조냉동기계기사 응시자격이 되지 않는 고등학교 졸업자나 관련 전공이 아닌 타 전공으로 졸업을 하였거나 중퇴자들의 경우에는 공조냉동기계기사 시험을 볼 수 없는데요, 이런 사람들은 학력, 경력 조건을 갖추기에 최소 4년이라는 기간과 그에 따른 비용이 들어가게 됩니다. 그러나 경력+학력조건으로 갖추는게 아닌 학점은행제라는 제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훨씬 더 효율적인 방법을 이용해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보통 4개월~2년안이면 공조냉동기계기사 응시조건을 갖춤!)

 

 

학점은행제도 대학 수업이다 보니까 학습자분들이 시작하기 전에 어려움 없이 진행할 수 있을지 고민을 많이 하시는데요, 이미 직장에 다니고 있고 학업에는 손을 놓은 지 오래 된 경우도 있을테고 대학 자체를 다녀본 적이 없는 고졸자의 경우도 있을 겁니다 진행 과정에 있어서 쉽게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에 대해서 안내받은 후 진행한다면 관련 배경 지식이 없는 고졸자, 비전공자들도 충분히 공조냉동기계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고, 효율적으로 공조냉동기계기사 시험준비를 할 수 있습니다.

 

 

 

 

 

 

 

 

대졸자의 경우 이미 4년제 학위가 있으므로 공조냉동기계기사와 관련된 전공으로 학사학위를 새로 취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게 되는데요, 학습자가 졸업한 학과가 공조냉동관련 학과가 아니라고 생각되어도 관련학과로 인정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자격증을 주관하는 기관인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응시자격이 되는지부터 확인 받아보는 게 중요합니다!

 

 

 

 

 

 

고졸이상의 학력이라면 누구나 학점은행제를 이용해서 공조냉동기계기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최소한의 시간투자로 자격요건을 갖출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도움이 필요한 경우 아래 참고하여 학습자분의 구체적인 상황에 대해 남겨놓으시면 상담 도와드리겠습니다^^